진행 기간: 2021.01 ~ 2024.03
효율적인 마케팅 예산 집행을 위해 캠페인 별 평생 가치(LTV)를 예측하는 프로젝트.
LTV 프로젝트는 제가 이어받기 전인 2017년부터 연구가 시작돼서 장장 7년이 넘게 지속된 프로젝트인만큼, 프로젝트 나름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. 제가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시작한 2021년부터, 프로젝트가 마무리 된 2024년까지의 변천사를 큼직한 변화를 기준으로 ‘스테이지’로 구분해 설명해보겠습니다.
stage | 기간 | 한 줄 요약 | 모델링 | 서빙 방식 | 데이터/훈련/서빙 파이프라인 |
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021 | 기존 서비스 유지보수 | Bayesian (MCMC) | dashboard / jupyter notebook | 서빙: airflow |
2 | 2022 | 모델 성능 개선 | MCMC + linear regression | dashboard / jupyter notebook | 서빙: airflow |
3 | 2023 상반기 | UX + 속도 개선 | 위와 동일 | AWS Sagemaker + Dash web | 데이터: AWS lambda, 서빙: AWS Sagemaker + lambda |
4 | 2023 하반기 | 모델링 방법론 변경 | Deep learning (MLP, TiDE) | dashboard | 데이터: databricks, 훈련: mlflow, 서빙: databricks |
5 | 2024 | 초기 수준의 MLOps 구축 | classical ML | mlflow model registry | 데이터: databricks, 훈련: mlflow, 서빙: mlflow |
LTV 예측 프로젝트는 제가 입사한 2021년 이전부터 오랫동안 연구가 이어진 오래된 프로젝트로, 이미 LTV 예측값을 통해 마케터가 캠페인의 성과를 판단하는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정립된 상황이었습니다. 마케터는 두 가지 방식으로 LTV 예측값을 제공받았는데, 하나는 대시보드, 하나는 jupyter notebook 형태의 코드였습니다.
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 정리했습니다.
(작성 중)
(작성 중)
(작성 중)
(작성 중)